반응형

Safety News 840

[3/25] 사다리와 적재화물 작업 중 중대재해 발생

25년 3월 27일, 사다리 추락과 적재 화물에 깔리는 두 건의 산업 중대재해가 발생했다.  □ 중대재해1) 11:19경 서울 동작구 소재 빌딩 입구에서 사다리 작업 중 재해자가 3m 아래로 떨어져 사망했다. 2)19:55경 경기도 양주시 소재 창고에서 재해자가 하단의 찢어진 원료 포대의 포수 작업 중 적재된 원료 더미가 무너지며 깔려 병원으로 이송되었으나 사망했다. □ 예방대책1) 사다리 높이가 2m 이상인 경우 안전대를 착용하여 떨어짐 방지조치를 하여야 한다.2) 화물 적재는 높거나, 하중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쌓아야 하며, 작업 시 상부의 화물을 제거한 상태에서 진행해야 한다.

공장 유지관리 작업 중 기계 사이에 끼여 사망

25년 3월 21일 경북 포항 소재 냉연공장에서 maintenance를 위한 작업 중 설비에 끼여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재해자는 철판을 감는 기계 사이에 끼여 사망했다.    기계 설비에 끼이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작동 중 커버를 열 수 없는 인터록 장치, 광센서 및 안전바로 접근 시 작동 정지, 비상정지 버튼 안전교육, 기계 점검 시 전원 차단 등이 이뤄져야 한다.

전기공사 중 인양중인 변압기 추락... 사망사고 발생

25년 3월 13일 14시 18분경, 전기공사 중 인양 중인 변압기가 추락하며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경북 경산시의 한 전기공사 현장에서 체인블럭을 이용해 변압기를 인양하는 과정에서 천장 고정볼트가 파손되면서 변압기가 추락했다. 이 사고로 인해 재해자가 변압기에 맞아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했다.  사고 예방을 위해 중량물 취급 시 작업계획서를 작성하고 추락·낙하 등의 위험 예방대책을 포함한 안전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체인블럭은 인양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장소에 고정하여 중량물 이동 경로에는 작업자가 출입하지 못하도록 조치해야 한다.

고소작업대 작업 중 사다리 사용 금지하는 이유

나무 가지치기 작업 중 떨어져 사망한 사고가 발생했다. 작업자는 고소작업대를 탑승하고 나무 가지치기 작업 중이었다. 이 과정에서 작업 거리가 나오지 않아 사다리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소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는 추락방지조치를 해야 하는데, 사다리를 놓고 작업하는 부분, 안전고치 미체결 등 사고예방을 위한 조치가 이뤄지지 않아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고소작업대 위에서 추가 발판, 사다리 등 다른 장비 사용을 금지하고, 안전벨트 고리를 안전대에 체결 후 작업하도록 관리·감독이 이뤄져 고소작업대 상부에서 작업 시 추락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주택 창호 설치 현장 고소작업대 추락 사고

2025년 3월 7일 14시경, 부산 동구의 한 주택 창호 설치 현장에서 작업자가 고소작업대에 올라가 작업 중 약 10m 아래로 추락하여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해당 사고는 작업자의 안전 확보 미비 및 추락 방지 조치 미흡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소작업 중 안전장비 미착용 및 안전시설 미비로 인해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사업주는 고소작업 시 안전시설 강화, 개인 보호구 착용 의무화, 철저한 안전 교육 및 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또한,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처벌법을 준수하여 근로자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작업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 사고 예방대책 작업 전 안전점검 강화고소작업대의 점검 및 유지보수 강화작업자 개인 보호구(안전대, 안전모 등) 착용 의무화 및 점..

리모델링 작업 중 지붕 무너져, 작업 전 작업계획서 수립의 중요성

거창군 리모델링 현장에서 무너진 지붕에 깔려 작업자가 숨졌다. 1일 11:34경 개인주택 철거 및 리모델링 현장에서 내부 기둥 보강작업 중 발생한 사고다. 작업 전 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를 작성하고, 작업 중 계획이 준수되어야 한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4]의 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 내용 중 건물 등의 해체작업 전 다음의 내용이 수립되어야 한다. 가. 해체의 방법 및 해체 순서도면나. 가설설비·방호설비·환기설비 및 살수·방화설비 등의 방법다. 사업장 내 연락방법라. 해체물의 처분계획마. 해체작업용 기계·기구 등의 작업계획서바. 해체작업용 화약류 등의 사용계획서사. 그 밖에 안전·보건에 관련된 사항

호이스트 작업 중 낙하 전도 위험 예방 필요

2025년 2월 16일 14시 42분경, 경남 통용시 소재 금속가공 제조 공장에서 재해자가 호이스트로 작업 중 넘어지는 철제 구조물에 깔려 사망했다. 사고 예방을 위해서, 호이스트 작업 시 해지장치를 구비하고, 낙하·전도 등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대책 등이 포함된 작업계획서 구비 후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태양광 설치 전기공사 현장... 지붕공사 작업안전수칙 6가지

최근 유휴부지를 활용한 태양광 패널 공사나 지붕 위 설치작업이 활발해지며 태양광 설치 공사현장에서의 안전사고 예방이 시급해 보인다. 최근 2025년 2월 6일 13시 43분경, 경남 하동군 태양광 설비 설치공사 중 추락사고가 발생해 작업자가 10m 아래로 떨어졌다. 작업 발판 등 안전시설 없이 작업 중, 채광창이 깨지며 작업자가 중심을 잃고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지붕공사 주요 작업안전수칙 1) 우선 고소작업대 등으로 지붕 아래에서 작업 가능한지 확인2) 작업통로용 발판설치3) 채광창 안전덮개 설치4) 안전모&안전대 착용5) 부착설비에 안전대 걸고 작업6)지붕 위 자재 집중적재 금지

철강공장 작업자... 작업 중 지게차에 치여 사망

지난 7일 부산 철강공장에서 작업자가 지게차에 치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지게차 운전자는 자재 운반 중 재해자를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게차 작업 사고를 예방하려면 지게차 안전장치가 설치 및 작동시켜야 하고 지게차 작업 경로 통제가 필요하다. 지난 2023년 세종시 제조업 사업장에서도 비슷한 사고가 발생했다. 후진하던 지게차에 재해자가 깔려 숨졌다. 법원은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2년, 벌금 1,000만 원형을 선고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