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산업안전보건국 생물학 전공 Regional Administrator 버밍엄 지역관리자는 생물학 전공. 미국 노동부 산업안전보건국(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은 앨라배마주 버밍엄 지역을 추가했다. 근로자에게 헌신과 존중으로 양질의 서비스를 촉진하여 직장을 안전하고 건강하게 만들기 위해서다. 이를 위해 버밍엄 Regional Administrator에 생물학 전공(화학 부전공) Dorinda Hughes가 OSHA에 합류했다. Safety News/Press&Media 2024.10.05
재난안전 피뢰보호관리 & ESS폭발배기안전장치 개발성과 2024년 행정안전부 재난안전 연구개발성과 우수과제 중, 두 가지를 소개한다.1. 스마트피뢰보호 관리시스템2. ESS 폭발배기안전장치 스마트그리드 산업현장의 인명과 설비를 낙뢰 및 서지재해로부터 연속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직격뢰 보호용 1등급 스마트피뢰보호 관리시스템 기술개발 ▶ 프라임솔루션 행정안전부 연구개발성과 보고▶ 연구개발 기간(2019.06.13 ~ 2020.12.31)▶ 기후변화로 낙뢰 빈도 증가 → 보호가 필요한 서지취약설비 증가 → 심각한 설비와 인명 피해▶ ESS 화재 원인1. 전기적 충격에 대한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2. 운영환경 관리 미흡3. 설치 부주의4. ESS 통합제어 보호시스템 미흡5. 일부 배터리 셀에서 제조상 결함▶ 연구성과친환경 신재생에너지용 ESS 폭발배기안전장치 기술 .. Safety News/Press&Media 2024.09.30
불안전한 적재 거부한 운전자 해고? 징벌적 손해배상 지급명령 OSHA's Whistle blower Protection Program : reinstate driver who refused unsafe load 고용주가 에스코트 없이 대형 화물 운반을 거부한 근로자를 해고했다. 이에 미국 노동부는 이 트럭 운송 회사에 안전 요건을 준수해야 한다는 노동자를 부당해고했다고 판단하여, 임금+이자 약 $10,000, 징벌적 손해배상금 $10,000, 보상적 손해배상금 $10,000를 지급하려고 명령했다. 차량 사고사례 - 2024년 8월 2일 12시경, 인천 남동구 소재 재활용 처리장에서 재해자가 운반차량 점검을 위해 적재함 위로 올라가다가 바닥으로 떨어짐.- 2024년 9월 6일 고속도로에서 6.5톤 화물트럭이 1톤 트럭과 작업을 위해 서 있던 작업자를 치여 숨지게 .. Safety News/Press&Media 2024.09.27
재난안전통신망 활용 꾸준히 증가...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 및 기후위기 재난대응 혁신방안' 추진상황 점검회의가 26일 개최되었다.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 1. 인파 안전관리를 위한 제도를 마련하고, 현장 정착을 위해 재난안전 담당자 교육을 실시했다. 1) '다중운집인파사고'를 사회재난 유형에 추가하고, 지자체에 다중의 참여가 예상되나 주최가 없는 지역축제에 대해서도 안전관리 의무를 부여했다.2) 재난관리주관기관 대상 정책설명회, 지역축제 담당자 교육 등을 실시했다. 2. ICT를 활용한 인파관리 지원시스템을 구축하고 기관 간 협력체계를 강화했다. 1) 통신사 기지국 접속 정보를 활용해 인파밀집도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구축하고 중점 관리지역 100여 곳을 선정하여 운영하고 있다.2) 경찰과 소방의.. Safety News/Press&Media 2024.09.26
미국 노동부 직장 안전 보조금 1,270만 달러 hazard awareness, avoidance and controls에 대한 교육, 근로자 권리, 고용주에게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산업안전 및 보건법)에 대한 책임을 교육시키는 프로그램에 보조금으로 1,270만 달러($12.7 million)가 수여되었다. 우리 돈 170억 상당이 보조금으로 102개 비영리 단체에 전달된 것이다.(Susan Harwood Training Grants) 우리는 안전보건공단 산업재해예방시설자금 보조금 지원, 산업안전상생재단(현대차그룹 6개사 출연금)의 중소기업 안전역량 강화와 중대재해 예방 사업,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정부 1조 5천억 원 예산)은 안전교육과 장비 지원 '산업안전 대진단'을 실시하고 있다. 안전 보조금이.. Safety News/Press&Media 2024.09.25
세종청사 전기차화재진압 시연 SB-EV Drill Lance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고층화재 대비 합동 소방훈련 실시(행안부·기재부·정부청사관리본부·소방서 등) ■ 연면적 134,489㎥, 층수 지하 3층 지상 15층, 입주 인원 약 3천 3백 명 기관별 자체훈련 진행 절차 기관별로 진행하는 자체훈련은 가상화재에 따른 화재신고, 자위소방대 초기 진화, 입주직원의 신속한 대피 및 대피로 점검 등이 중점점으로 이뤄진다. 합동소방훈련 진행 절차야외에서 진행하는 합동훈련에서는 중앙동이 고층 건물인 점을 감안해 70m 높이 굴절사다리차, 무인파괴방수차 등 최첨단 소방장비를 투입해 인명구조 및 화재진압 훈련을 집중적으로 실시한다.※ 벽이나 유리창 무인파괴 후 소방관 접근 없이 방수포 화재진압 특히, 최근 사회적으로 관심이 높은 전기차 화재에 대비해 세종소방서에서 새롭게 도입한 .. Safety News/Press&Media 2024.09.24
폭발·화재 인명피해 방지대책 발표... 행정안전부 LPG 사고피해 최소화 23일 행정안전부는 'LPG 충전소, 저장소 폭발화재 인명피해 방지대책'을 발표했다. 폭발·화재 발생과 피해가 확대되는 원인을 분석하고, '예방 및 대응역량 강화로 인명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30개 중점 추진 과제를 확정했다. 대책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현장 초동대응 역량 강화1-1) 가스누출 경보 알림 및 차단 시스템을 강화한다.1-2) 가스 유출로 접근이 어려운 경우에도 가스 차단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한다.1-3) 재난문자 발송 지연을 최소화한다. 2. 안전점검 체계 개선2-1) 점검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검사방법을 개선한다.2-2) 안전관리 미준수 사업주 등에 대한 처벌을 강화한다.2-3) 사업주의 자율 안전점검도 강화한다.2-4) LPG 충전소 내 수소·전기차 충전시설 안전기준을 마련.. Safety News/Press&Media 2024.09.23
잠재 위험요소 감소! 연수구 위험성 평가 결과보고회 개최 연수구, 전부서 대상 위험성 평가 결과보고회 개최-지역 내 잠재 위험요소 사전 발굴 부서별 평가·감소대책 수립 연수구(구청장 이재호)는 지역 내 잠재된 위험요소를 사전에 발굴 평가해 개선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 13일 구청 대상황실에서 ‘2024년 위험성평가 결과보고회’를 실시했다. 이날 보고회는 단·실·국·소장과 부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김진태 부구청장을 주재로 지난 4월 중에 실시한 위험성평가에 따라 부서별로 발굴된 유해·위험요인 결과와 감소대책 수립에 관한 사항을 공유했다. 위험성 평가는 안전전문관리기관 ㈜세이프어스에서 수행했고 구 본청 등 관리시설의 근로자와 이용자의 안전을 위해 위험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실시했다. 연수구 관계자는 “이번 위험성평가 결과보고회.. Safety News/Press&Media 2024.09.06
함평군 교체 작업 중 감전... 감전재해 예방 3대 기본 수칙 - 수돗물 시설 부품 교체 중 감전사고로 재해자가 숨졌다. 1) 2024년 8월 19일 14:00경2) 전라남도 함평군 소재 상수도 공사현장3) 전기판넬 조작작업을 하던 재해자가 활선에 감전됨 - 감전 사망사고 예방 3대 기본 수칙 준수 1) 작업 전 전로 차단2) 전기 기계·기구 접지 및 누전차단기 설치3) 전로 주변 작업 시 방호·보호 조치 Safety News/Serious Accident 2024.08.25
광주 타이어 공장 감전사고 발생... 현장 배전반 점검 - 배전반 점검 중 감전으로 사망 24년 8월 19일 11:55경 광주 광산구 소재 타이어 공장 내 전기공사 현장에서 배전반 점검 작업 중인 재해자가 활선상태인 단자에 접촉하여 감전으로 사망했다. - 충전전로의 정비, 점검 시에는 해당 전로를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차단하고, 작업을 하는 경우 해당 전압에 적합한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하고, 절연용 보호구를 착용한 후 안전하게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1. 전기기기등에 공급되는 모든 전원을 관련 도면, 배선도 등으로 확인.2. 전원을 차단한 후 각 단로기 등을 개방하고 확인.3. 차단장치나 단로기 등에 잠금장치 및 꼬리표를 부착.4. 개로된 전로에서 유도전압 또는 전기에너지가 축적되어 근로자에게 전기위험을 끼칠 수 있는 전기기기등은 접촉하기 전에 잔류전하.. Safety News/Serious Accident 2024.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