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산업안전 152

VOC(휘발성유기화합물)배관 작업 중 화재, 폭발 발생으로 사망

사고 개요 2021년 12월 13일 13:36 경, 여수 소재 화학물질 제조 사업장에서 VOC배관 연결 작업 중 화재·폭발 발생으로 2명 사망, 1명 실종. VOC란? VOC: Volatile Organic Compounds, 휘발성유기화합물 비점(끊는 점)이 낮아서 대기 중으로 쉽게 증발되는 액체 또는 기체상 유기화합물을 총칭으로서 VOC라고도 하는데, 산업체에서 많이 사용하는 용매에서 화학 및 제약공장이나 플라스틱 건조공정에서 배출되는 유기가스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며 끓는점이 낮은 액체연료, 파라핀, 올레핀, 방향족화합물 등 생활주변에서 흔히 사용하는 탄화수소류가 거의 해당됨. VOC는 대기 중에서 질소산화물(NOx)과 함께 광화학반응으로 오존 등 광화학산화제를 생성하여 광화학스모그를 유발하기도 ..

컨베이어 벨트와 롤러 사이에 끼여 1명 사망

사고 개요 2021년 12월 10일 01:50 경, 서울특별시 소재 공사현장 내에서 골재운반용 컨베이어 벨트와 롤러 사이에 끼여 1명 사망 재해발생 위험요인 1. 벨트 컨베이어 회전부에 끼임 2. 점검 중 하부 롤러에 끼임 3. 상부 구동장치 점검 중 떨어짐 관련 법령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1. 제192조(비상정지장치) 사업주는 컨베이어등에 해당 근로자의 신체의 일부가 말려드는 등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있는 경우 및 비상시에는 즉시 컨베이어등의 운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무동력상태로만 사용하여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제193조(낙하물에 의한 위험 방지) 사업주는 컨베이어등으로부터 화물이 떨어져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있는..

급발진한 지반다짐용 로더에 깔려 근로자가 사망

사고 개요 2021년 12월 1일 18:41경, 안양 신축공사 현장에서 로더 운전자 옷깃이 레버에 걸리면서 급발진한 로더에 전방에 위치하던 근로자 3명이 깔림. 뉴스 https://m.news.nate.com/view/20211202n28513?mid=m02&list=recent&cpcd= "안양 롤러 사고 근로자 3명, LS일렉트릭 직원" | 경제 : 네이트 뉴스 경제 뉴스: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2일 근로자 3명이 사고로 사망한 경기 안양시의 한 도로포장 공사장을 둘러보고 있다. / 연합뉴스[서울경제] 1일 경기 안양시에서 바닥 다짐용 롤러에 깔 m.news.nate.com 작업 중 유의 사항 1. 자격증 소지자 외 조종 금지 및 음주운전 금지, 휴대폰 사용 금지 2. 고장 시 즉시 사용 중지..

사업장 위험성 평가 용어의 정의

개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위험성평가 실시는 사업장 내 유해·위험요인을 감소시키는 데 기여한다. 정의 용 어 정 의 1. 위험성 평가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한 후 해당 요인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부상이나 질병을 추정하고 감소대책을 세우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2. (화학)유해성 화학물질의 독성 등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물질의 고유한 성질을 말한다. 3. (화학)위험성 근로자가 유해성이 있는 화학물질에 노출됨으로써 건강장해가 발생할 가능성과 건강에 영향을 주는 정도의 조합을 말한다. 4. 위험성 추정 유해·위험요인이 부상이나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과 중대성의 조합을 말한다. 5. 위험성 결정 유해·위험요인별로 추정한 위험성의 크기가 가용 범위인지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6. 유해·위험요인 ..

27. 전자파에 의한 기계, 설비의 오동작 방지

개요 사업주는 전자파로 인한 기계ㆍ설비의 오작동 방지 조치를 해야 한다. 오작동 방지 조치 1. 전기기계ㆍ기구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의 크기가 다른 기계ㆍ설비가 원래 의도된 대로 작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것 2. 기계ㆍ설비는 원래 의도된 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적절한 수준의 전자파 내성을 가지도록 하거나, 이에 준하는 전자파 차폐조치를 할 것 KOSHA 기술지침 산업용 설비에서의 전자파적합성에 관한 기술기준 관련 법령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7조(전자파에 의한 기계ㆍ설비의 오작동 방지) 사업주는 전기 기계ㆍ기구 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자파로 인하여 기계ㆍ설비의 오작동을 초래함으로써 산업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1. 전기기계ㆍ기구에서 발생하는..

26. 피뢰설비의 설치 및 기술지침

개요 사업주는 산업표준화법에 따라 낙뢰에 의한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피뢰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건축물 등의 피뢰설비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6조(피뢰침 의 설치)에 따라 건축물 내 외부의 인명 및 설비를 낙뢰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효과적인 피뢰설비의 설치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외부 피뢰설비 4.1) 수뢰부 4.2) 인하도선 4.3) 접지시스템 4.4) 조임부 4.5) 재료 및 굵기 5. 내부 피뢰설비 5.1) 등전위 본딩 5.2) 외부 피뢰설비와의 전기적 절연 6. 피뢰설비와 점검 및 정비 6.1) 점검 시 확인사항 6.2) 점검 순서 6.3) 피뢰설비의 정비 관련 법령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

24. 전기 기계 등으로 인한 위험 방지 적용 제외

개요 전기 기계ㆍ기구 등으로 인한 위험 방지 조치를 미적용하는 경우가 있다. 위험 방지 적용 제외 대지전압이 30볼트 이하인 전기기계ㆍ기구ㆍ배선 또는 이동전선 전기 기계ㆍ기구 등으로 인한 위험 방지 조치에 관한 사항 제38조제1항제5호 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의 작성 등: 전기작업(해당 전압이 50볼트를 넘거나 전기에너지가 250볼트암페어를 넘는 경우로 한정한다) 제301조 전기 기계ㆍ기구 등의 충전부 방호 제302조 전기 기계ㆍ기구의 접지 제303조 전기 기계ㆍ기구의 적정설치 등 제304조 누전차단기에 의한 감전방지 제305조 과전류 차단장치 제306조 교류아크용접기 등 제307조 단로기 등의 개폐 제308조 비상전원 제309조 임시로 사용하는 전등 등의 위험 방지 제310조 전기 기계ㆍ기구의 조작 시 ..

23. 절연용 보호구 등을 사용하는 전기 작업의 종류

개요 사업주는 전기 작업에 사용하는 절연용 보호구 등에 대하여 각각의 사용목적에 적합한 종별ㆍ재질 및 치수의 것을 사용해야 한다. 절연용 보호구 등을 사용하는 전기 작업의 종류 종 류 1. 밀폐공간에서의 전기작업 2. 이동 및 휴대장비 등을 사용하는 전기작업 3. 정전전로 또는 그 인근에서의 전기작업 4. 충전전로에서의 전기작업 5. 충전전로 인근에서의 차량ㆍ기계장치 등의 작업 용어 설명 1. 절연용 보호구 - 절연장갑, 전기용 안전모, 절연용 고무 소매,, 절연 장화 등 - 대상 전로의 전압에 대한 절연 성능을 가진 것 - 감전될 우려가 상태에서 저압의 배선, 전기기계기구 등의 절연이 불완전한 충전 전로를 점검 및 수리를 취급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절연용 보호구를 착용하여야 한다. - 점검 및 수리 등 ..

22. 충전전로 인근에서 차량 등의 작업 시 이격 거리

개요 사업주는 충전 전로 인근에서 차량 등의 작업이 있는 경우에는 충전부로부터 일정한 이격거리를 가져야 한다. 충전부로부터 이격 거리 1. 충전전로의 충전부로부터 300센티미터 이상 이격시켜 유지 2. 대지전압이 50킬로볼트를 넘는 경우 이격거리는 10킬로볼트 증가할 때마다 10센티미터씩 증가 3. 차량등의 높이를 낮춘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격거리를 120센티미터 이상 4. (3의 경우에서)대지전압이 50킬로볼트를 넘는 경우에는 10킬로볼트 증가할 때마다 이격거리를 10센티미터씩 증가 이격 거리 예외 사항 1. 충전전로의 전압에 적합한 절연용 방호구 등을 설치한 경우에는 이격거리를 절연용 방호구 앞면까지 2. 차량등의 가공 붐대의 버킷이나 끝부분 등이 충전전로의 전압에 적합하게 절연되어 있고 유자..

반응형